[이슈+] 청년 5명 중 4명 미혼…30년 뒤 청년 '반토막'…대책은?<br /><br /><br />통계청에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인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, 2050년에 전체 인구 대비 청년세대 인구가 10% 수준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분석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,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모니터링 평가센터장 화상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먼저, 청년세대에 대한 정의부터 해보면 좋겠습니다. 통계에 반영된 청년 세대는 정확히 몇 세부터 몇 세를 의미하는 건가요?<br /><br /> 만 19세부터 34세를 따져보니 2020년 기준 청년세대 인구가 전체 총인구의 20.4%를 차지했는데요. 그런데 약 30년 뒤에는 청년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 이 같은 전망이 나오게 된 배경이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청년세대가 전체 인구의 11%에 불과해진다는 건, 국가 전체적으로 활력을 잃어간다는 의미가 아니겠냐는 분석도 나오는데요. 실제 청년세대의 비중이 줄어든다는 건 어떤 의미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저출생 문제는 왜 나타날까를 생각해보면, 청년세대의 82%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평균 혼인 연령대인 30~34세를 따져봐도 과반 이상이 미혼인데요. 청년세대의 혼인율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뭐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청년세대의 혼인율이 줄면서 자연스럽게 우리나라 합계출산율도 감소하고 있습니다. 특히 올해 2분기에는 0.7명으로 역대 최저 수치를 기록했는데요. 이런 추세라면 머지않아 0.7명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더라고요?<br /><br /> 출산 생각이 없는 이유를 물었더니, 10명 중 4명이 경제적인 부담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습니다. 그리고 건강 상태, 배우자와의 관계, 경력단절 순으로 나타났는데요. 이 조사 결과는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청년 세대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지를 살펴봐야 할 텐데요. 청년 세대의 과반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특히 비수도권의 청년 77%가 수도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이 원인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그렇다면 비수도권 청년세대 인구의 유출이 심화함으로서 저출산에도 영향을 줬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이야기를 나눠보니 저출산의 원인은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, 지역과 사회·문화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생각도 드는데요.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저출산 정책을 어떻게 꾸려나가야 한다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최근 나온 인식조사 결과 하나를 더 짚어보면, 국민 81%가 "동거 등의 다양한 결혼제도 형태를 인정해야 한다"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 조사 결과가 의미하는 건 뭐라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